ganaart

ARTIST

Park Daesung
박대성

1945-

Park Dae Sung (b. 1945) is an artist (pen name: Sosan) who has established independent territory in the Korean art scene by cultivating a unique painting style while succeeding the Korean ink painting traditions. He reinterprets traditional Korean sumuk (water and ink) painting in a contemporary way yet still follows the pedigree of Shillong (actual-view) landscape painting. In the 2000s, becoming interested in calligraphy, the artist began studying the formative aspects of characters, and he attempted to express the feelings of tension and vital energy found in the rapid, single strokes of traditional calligraphy through the use of powerful brush strokes in his picture-planes. The natural landscapes and objects portrayed in strong brush strokes were embodied in rough, restrained forms rather than detailed depictions. Moreover, Park has utilized multiple perspectives to complete diverse and dynamic spaces. He has, in other words, experimented with semi-abstract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through a restrained depiction using the lines of calligraphy and distorted representation of space. Park’s unique formative characteristics, beginning from the origin of Eastern traditional formative art called calligraphy, enabled him to create diverse variations at the tip of his brush, and his spaces of altered perspectives have added a contemporary feeling to his sumuk painting. This “way of the brush” discovered by Park Dae Sung is clearly the solution he has found for Korean painting.

소산 박대성(小山 朴大成, b. 1945) 화백은 수묵화의 전통을 이어 나가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일구며 한국 화단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만들어가는 작가다. 그는 수묵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면서 이와 동시에 전통을 계승하여 실경산수의 계보를 잇는다. 특히 2000년대부터 서예에 심취하여 글자 자체가 가지는 조형성을 연구하기 시작한 작가는 ‘일필휘지’로 쓰인 서예에서 전달되는 긴장감과 기운생동의 느낌을 강한 필선을 통해 화면에 구사하였다. 이처럼 강한 필선으로 묘사된 자연풍경과 사물들은 세심한 묘사 대신, 투박하고 절제된 형태로 구현되었다. 뿐만 아니라, 박대성은 다시점(多-)을 활용하며 다채롭고 역동적인 공간을 완성하였다. 즉, 작가는 서예의 ‘선’을 활용한 절제된 묘사와 왜곡된 공간 재현을 통해 반추상(半-)의 현대적인 한국화를 실험한 것이다. ‘서예’라는 동양적이면서 전통적인 조형의 기원으로부터 시작된 박대성만의 조형성은, 붓이 자아낼 수 있는 다양한 변주를 가능하게 했으며 변형된 시점의 공간은 그의 수묵화에 현대적인 느낌을 더했다. 이러한 박대성이 찾은 붓 길은 분명, 그가 찾은 한국화의 해답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