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naart

ARTIST FOCUS

KO YOUNGHOON 고영훈 Interview

01/19/2024

Gana Art had the pleasure of meeting with the experimental hyperrealist artist Ko Younghoon in the winter of 2022 at his Buam-dong studio in the Jongno-gu district of Seoul. We interviewed him about his artistic vision and sources of inspiration.

2022년 겨울, 가나아트는 극사실적인 필치로 회화의 가능성을 실험해온 고영훈 작가와 뜻깊은 만남을 가졌다. 종로구 부암동에 위치한 그의 아틀리에를 방문해 작업적 세계관과 영감의 근원을 물었던 시간을 공개한다.

Ko’s Studio in Buam-dong, Seoul on November 14, 2022

Gana (G): Hello Mr. Ko, c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and your studio?

Ko Younghoon (K): I’m Ko Younghoon, and I’m an artist based in Seoul. My studio here in Buam-dong is about fifteen years old. It’s a building that I designed myself, so I could say it’s one of my works that I’m most attached to. I especially put a lot of care into the garden since I like to take a lot of walks.

G: I’d like to start with a question about your early work. You’ve been exploring stones since the mid-1970s, and stones and books together since the 1980s as a main motif. What inspired you to paint them?

K: My home region, Jeju-do Island, is volcanic. Everything I saw was made from stone, including houses and boundary fences, so it was natural for me to see it all around. When I entered university, I didn’t really have a developed philosophy about what and how I should paint. That period of struggle was when I chose stone. First, I tried painting earth, water, sky, and stone. At that time, it seemed most natural to paint stone because I was so visually familiar with it, so I chose it as a motif for my work. Also, in terms of human relationships, many civilizations are remembered through stone. This significance of stone also led me to choose it as a subject matter. In this light, I started painting stones set against a sky, and then I started painting books. When I got married, I realized that reality can be very complicated and there are many restrictions. The world is full of symbols that indicate demands, such as receipts, newspapers, and signposts. I thought that in addition to nature, letters are inescapable parts of human fate. I began painting books to imply that. Stone and books are diametrically opposed concepts, but we can neither reject nature nor civilization. I began painting stones and books with the idea that they are in conflict yet should be harmonized. There is a gap between conflict and harmony, which is the shadow between books and stones. This is how the series Stone Book came to be.

G: That’s interesting. How did you come to shift from painting stones and books to moon jars?

K: I didn’t come across moon jars at the beginning, because they’ve been very precious object since ancient times. What I discovered and painted before moon jars were just containers, in particular nickel-silver pots that are widely used in Korea. Then one day, there was an exhibition to commemorate the New Year and I was thinking about what to paint. The porcelain bowls that were widely used in the past came to my mind. The porcelain bowls that were used in Korea in the past are often decorated with the character “福” (meaning ‘good fortune’). In addition, people used to place a ceramic bowl with clean water under a zelkova tree and pray as a folk ritual. The zelkova tree became a god, and these human prayers to the gods could be interpreted as prayers to nature. That’s what I painted. One day, I had the opportunity to see a moon jar, which was really different in terms of quality from the porcelaneous bowls. I also viewed the moon jar as a type of bowl, and a bowl is a medium through which you can encounter the gods through the aesthetics of its size, shape, and the illusions it creates, and that’s what motivated me to start painting moon jars.

G: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n actual moon jar and a painting of a moon jar? I’m curious about what you’re trying to accomplish by painting certain objects in such a detailed and hyper-realistic way.

K: I paint in a hyper-realistic way and tell my story through the illusions that can emerge from it. My moon jars are representations of time gaps, and they embody the artist and potter. A moon jar made two hundred years ago probably did not come out exactly as the potter intended. Circumstances are likely to have intervened. The original form of the moon jar may have been warped in the fire, and fuel residues may have unexpectedly attached to the surface. The form and color of the vessel probably changed even after being glazed and fired. In this light, the moon jar probably left the potter’s hands and was only completed as it gradually passed into the realm of the divine. Moreover, there is a time gap of some two hundred years between the moon jar that was crafted and the one that I paint. Over these two hundred years, the jar was likely to have been used by many people since it is a vessel after all. It accumulated traces of time over the course of the years. It’s significant because I have to paint moon jars with all of these traces. I try to paint the two hundred years of history and human truths. The once-pristine moon jar now sits in front of me expressing time, space, and people. I paint these moon jars in an illusory way.

G: Would you say that superimposing objects from multiple perspectives, or painting blurred images of the past and future, is also part of your illusory method?

K: Yes, it can be seen as an illusory focus. A moon jar from the past and a moon jar in the present have gone through two hundred years of change. I want to show people how a moon jar transforms over time because I think that it is a representation of the order and flow of the world. In other words, I want to tell the story of the changes in a moon jar in an illusory way, allowing us to imagine not only the past, but also the future of the moon jar. The future is ultimately understood based on the past and the present, so the past of the moon jar is important, and it is only by extending the point where it passes through the present that the future can be seen. Therefore, I think that things that are faint are seen clearly in the present because they rely on past memories. The future is unclear because it is yet to come and can only be guessed at. Therefore, I paint the past faintly and the present clearly and distinctly. The future is indistinct, something that is just extrapolated, so I use illusory memories to depict it.

G: The concept of time is particularly prominent in your work. Could you elaborate on this?

K: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2021) is a work comprised of three parts. The moon jar on the left is painted faintly, the one in the center is painted very clearly, and the one on the right is painted slightly less clearly. It is a painting that focuses on the temporality of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as the title suggests. In terms of materiality, I painted the time before the matter was formed, the process through which it became materialized, and the future and the ways the object could change after materializing. Also, in terms of content, the left one is faint and not yet formed, but the center, or the present, my reality, has materialized. The one on the right, representing the future, has the potential to become something else. Overall, the painting presents a unified flow, but the three parts exist differently in time: the jars are the same yet they are different entities, and though different they are a single whole. Visually, the moon jar in the center may seem like the ‘real’ moon jar, and the ones on the left and right may seem to be somehow lacking, but I can see the three as almost the same. This is because the world has changed from the past (left) to the present (center) to the future (right), but the moon jars themselves have always been moon jars, just in a different form that we perceive through sight or touch. There’s a difference in time, but it all comes down to the same origins. It is a work that I created with the idea that even though they may look different in the moment, they’re all connected over time.


2022. 11. 14. in 서울 부암동 아틀리에

가나(G): 안녕하세요 작가님, 본인 및 작업실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고영훈(K): 서울에서 작업하는 고영훈입니다. 지금 있는 부암동 작업실은 15년 정도 됐습니다. 제가 직접 구조를 생각해서 지은 건물이기 때문에 애착이 많이 가는 하나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죠. 특히 산책을 많이 하기 때문에 주변 정원을 신경 썼습니다.

G: 초기 작업에 대한 질문부터 드리고 싶습니다. 선생님께서는 1970년대 중반부터 돌을, 1980년대부터는 돌과 책을 함께 작업의 주요한 소재로 등장시키셨는데요. 해당 소재를 그리시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K: 제 고향인 제주도는 섬 전체가 화산섬입니다. 가옥과 경계선 등 보이는 모든 것이 돌이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인식이 자연스러웠습니다. 그러다 대학에 입학했을 땐 무엇을 어떻게 그릴지에 대한 철학이 완전히 갖춰지지 않았던 시기였어요. 그 고민의 시기와 돌을 선택한 시점이 맞물렸고, 우선 흙, 물, 하늘, 돌 등을 그려봤어요. 그때 시각적으로 익숙했던 돌을 그리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게 와닿았고, 그렇게 작품의 소재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나아가 인간관계에서 보면 고대부터 모든 문명은 돌에 기록됩니다. 이러한 돌의 의미도 소재 선택의 이유가 되었습니다. 그렇게 한동안 하늘의 공간에 돌을 띄운 형태로 그리다가 책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결혼을 하면서 현실은 굉장히 복잡하고 제재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영수증과 신문, 표지판 등 요구를 암시하는 기호로 세상은 가득 차 있죠. 여기서 문자는 자연과는 또 다른, 인간에게 피치 못할 운명이라 생각했습니다. 그것을 함축적으로 그린 것이 책입니다. 돌과 책은 정반대의 개념이지만 우리는 자연도, 문명도 거부할 수 없습니다. 충돌하지만 조화되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돌과 책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충돌과 조화의 사이가 있는데, 바로 책과 돌 사이의 그림자입니다. 그렇게 형성된 시리즈가 <Stone Book (돌 책)> 입니다.

G: 흥미롭습니다. 그렇다면 돌과 책을 그리시다가 달항아리로 작업의 주제를 옮기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K: 처음부터 달항아리를 접한 건 아니었어요. 예로부터 워낙 귀한 오브제이니까요. 달항아리보다 먼저 접하고 그렸던 것이 바로 그릇입니다. 그 중에서도 우리 서민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양은냄비요. 그러다 언젠가는 새해 축하 전시가 있었어요. 무엇을 그릴지 고민하다가 옛날에 사용하던 자기 그릇이 생각났죠. 주로 서민들이 쓰던 자기그릇에는 ‘복(福)’이라는 글자가 쓰여 있기도 하고, 서민적인 종교의식으로 자기그릇에 정안수를 담아 느티나무 밑에서 기도를 올리는 문화도 있었죠. 이때 느티나무는 신이 됩니다. 따라서 인간이 신에게 기도하는 것은 자연에게 기도하는 것으로 해석되었어요. 그걸 그렸습니다. 그리고 언젠가 달항아리를 구경할 기회를 갖게 되었는데, 자기그릇과는 품격이 달랐어요. 이때 저는 달항아리도 그릇이라는 개념으로 맞이했습니다. 그릇은 크기, 모양, 환영(illusion)의 정서를 통해서 신과 마주칠 수 있는 매개체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달항아리를 그리기 시작한 동기가 되었어요.

G: 실제 달항아리와 달항아리 그림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선생님께서 특정 오브제를 세밀하고 극사실적으로 그림으로써 성취하고자 하시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K: 저는 극사실적인 방법으로 그림을 그리고, 거기서 나타나는 환영을 통해 내 이야기를 전달해요. 달항아리에는 시간차가 있고, 그 안에는 작가 혹은 도공이 있습니다. 200년 전 만들어진 달항아리는 도공이 전제한 형태 그대로 나타나지 않아요. 상황이 개입됩니다. 원래의 모양이 불바람에 의해 휘어지거나, 예기치 못하게 연료의 찌꺼기가 묻기도 해요. 유약을 발라 굽고 난 후에도 형태와 색이 달라져요. 따라서 달항아리는 도공의 손을 떠나 점점 신의 영역으로 가면서 완성됩니다. 그렇게 완성된 뒤에도 제가 그리는 달항아리와는 200년에 가까운 시간차가 있죠. 그리고 그 200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사용합니다. 그릇이니까요. 그러다 보면 스치고 지나가는 흔적들이 계속 누적됩니다. 저는 이 흔적까지 포함한 달항아리를 그려야 하기 때문에 의의가 있어요. 200년 동안 내려온 역사와 인문학적 사실을 담아내려 하기 때문이죠. 깨끗했던 달항아리는 어느덧 제 앞에서 시간, 공간, 그리고 인간을 품은 채 놓이게 됩니다. 저는 그것을 환영적인 방법으로 그려 나가는 겁니다.  

G: 그렇다면 여러 시점에서 사물을 겹쳐 표현하시거나, 과거와 미래의 흐릿한 상을 그리시는 것도 환영적인 방법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K: 네, 환영적인 초점에서 볼 수 있죠. 과거의 달항아리와 지금의 달항아리는 200년간의 변화를 거쳐왔습니다. 저는 오랜 시간을 거치며 달항아리가 바뀌는 모습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습니다. 그것이 모든 세상의 질서와 흐름이자 무늬라고 생각하거든요. 즉, 달항아리의 ‘변함’에 대한 이야기를 환영적으로 하고 싶어요. 과거뿐 아니라 달항아리의 미래도 가늠합니다. 하지만 미래는 결국 과거와 현재를 기반으로 가늠되죠. 결국 그만큼 달항아리의 과거가 중요하고, 이것이 현재를 통과하는 지점을 연장해 비로소 미래가 점쳐집니다. 따라서 희미했던 것들이 과거 기억에 의존해서 현재는 뚜렷하게 보인다고 생각해요.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고, 가늠하는 것이기에 뚜렷하지 않아요. 따라서 과거는 희미하게, 현재는 확실하고 뚜렷하게 그립니다. 미래는 뚜렷하지 않게 가늠하는 것이기 때문에 환영적인 기억을 사용해 그려냅니다.

G: 선생님의 작업에서는 시간이라는 특성이 특히 눈에 띕니다. 마지막으로 이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을까요?

K: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Yesterday, Today, and Tommorow)>(2021)은 세 쪽의 그림입니다. 그중 왼쪽은 희미하게, 중앙은 아주 뚜렷하게, 오른쪽은 조금 덜 뚜렷하게 그려졌죠. 이 작품은 제목처럼 어제, 오늘, 내일이라는 시간성에 주안점을 둔 그림입니다. 이 그림을 물질성으로 보면, 시간 속에서 물질이 형성되기 전과 되어가는 과정, 그리고 형성된 후 앞으로 오브제가 어떤 형식으로 바뀔 지 그 미래에 대한 것을 그렸습니다. 또한, 내용물적으로 보면, 왼쪽은 희미해서 아직 덜 형성되었죠. 그러나 중앙의 그림, 즉 현재는 확실하게 형성된 나의 현실입니다. 미래를 표현한 오른쪽 그림은 오브제가 또 다른 것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가집니다. 크게 보면 한 흐름이지만, 세 파트가 모두 시간에 의해 다르게 존재합니다. 즉, 같지만 다른 개체이고, 다르지만 하나로 볼 수 있는 것이죠. 시각적으로 볼 때 중앙의 달항아리가 진짜 달항아리이고, 왼쪽과 오른쪽의 달항아리는 어딘가 모자란 다른 달항아리처럼 느껴질 수 있어요. 그렇지만 저는 이 세 달항아리가 거의 같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세상은 과거(왼쪽)에서 현재(중앙)를 거쳐 미래(오른쪽)로 변해오지만, 달항아리 자체는 그대로 달항아리였어요. 단지 시각이나 촉각에 의해 느껴지는 형식이 달랐을 뿐이죠. 시간차는 있지만 결국 그 근원은 같습니다. 당장 보면 다른 것 같아도 시간을 길게 보면 모두 이어져 있다는 시각을 갖고 임한 작업입니다.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2021
Acrylic on plaster and canvas
132.5 x 185 cm / 52.2 x 72.8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