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naart

ARTIST

Lee Young Rim
이영림

Young Rim Lee has expressed by saving the properties of the woods and then structuralising that. Lee, who studied cognitive psychology, reflects on the visible sense and the errors in recognizing it in works. She said, "At some point, space came to become picturesque.” Instead of concentrating on the matter of the mass of the sculpture, Lee presents a paradoxical experience of the flatness in the three dimensions. The artist, who concentrates on ‘the structure of painting’, focuses on new spaces created by organizing a limited space called plywood into pieces of wood. Even though her artworks become three-dimensional through the spaces made on the plywood of a plane, the artist sticks these on the wall, limits the sight on the front, and changes the aggregated pieces into a planar painting. Also, to implement an artwork that shows the ‘materiality of painting’, Young Rim Lee left the characteristics of wood chips as it is. Like the artists who put layers of paint to reveal the materiality, the artist gathered the tree three-dimensionally. Therefore, Lee’s artworks approach as planar paintings and space-occupying three-dimensional aid. Accordingly, her works have a deciduous characteristic.

이영림은 나무의 물성을 살리면서 동시에 이를 구조화하는 작업을 전개한다 오랜 시간 인지심리학을 공부한 작가는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감각과 이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들 작업으로 연결한다. “어느 순간 공간이 회화적으로 다가왔다”는 작가는 조각이 갖는 매스의 문제에 참작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이 점유하는 공간과 더불어 입체의 평면화를 통한 역설적 경험을 제시한다. ‘회화의 구조화’에 관심을 두고 있는 작가는 나무 합판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나무 조각으로 조직함으로써 생겨나는 새로운 공간들에 집중한다. 평면의 합판 위에서 만들어진 공간들로 인해 이영림의 작업은 입체가 되지만, 작가는 이를 벽에 부착하여 정면으로 시야를 제한함으로써 집적된 조각들을 평면의 회화로 변환한다. 또한 ‘회화의 물질성’ 드러내는 작업을 구현하기 위해 이영림은 작업에 사용된 나무조각의 특성을 그대로 살려냈다. 물질성을 드러내고자 물감을 층층이 쌓았던 화가들처럼 작가는 나무를 입체적으로 집적한 것이다. 때문에 이영림의 작업은 벽에 결린 평면의 회화 같으면서도 공간을 점유하는 입체 부조와 같이 다가오며 회화와 조각의 범주를 오가는 탈장르적 특성을 지닌다.